우류 소토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류 소토키치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러일 전쟁에서 제2함대 사령관으로서 제물포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가가 번의 무사 집안 출신으로, 미국 유학 후 일본 해군 중위로 임관하여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07년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1912년 해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 기념 박람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고, 1922년부터 3년간 귀족원 의원을 지냈다. 말년에는 미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다가 193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스다가 - 이와사키 히로미 (가수)
이와사키 히로미는 1975년 데뷔 후 '로맨스'를 히트시키며 19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 일본 가요계를 대표하는 가수로 자리매김했으며 배우와 체코 공화국 친선대사로도 활동했다.
우류 소토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남작 |
이름 | 우류 소토키치 |
원어 이름 | 瓜生 外吉 |
원어 이름 (언어) | ja |
출생일 | 1857년 1월 2일 |
사망일 | 1937년 11월 11일 |
출생지 | 가나자와, 가가 번, 일본 |
사망지 | 도쿄, 일본 |
묘소 | 아오야마 묘지, 도쿄, 일본 |
![]() | |
본관 | 우류 씨 |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71년–1927년 |
최종 계급 | 해군 대장 |
지휘 | 아카기 아키쓰시마 후소 마쓰시마 야시마 사세보 해군 기지 요코스카 해군 기지 |
주요 참전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물포 해전 쓰시마 해전 |
수상 내역 | 욱일장 (1등) 금치훈장 |
배우자 | 나가이 시게코 (1882년 12월 1일 결혼, 1928년 11월 3일 사망) |
![]() |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Uryū Sotokichi |
묘소 위치 | 아오야마 묘지 1イ22-5 |
2. 생애
우류 소토키치는 1857년 가가번의 지번인 다이쇼지번 번사 우류 긴와타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서양 학문을 접하고 1874년 개신교로 개종했다.
러일 전쟁에서 제물포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전후 다케시키 요항부 사령관, 사세보 진수부 장관, 장관 회의 의원, 요코스카 진수부 장관을 역임하고 1907년에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12년 대장으로 승진 후 임시 박람회 임시 총재를 맡았고, 1913년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 기념 박람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 1922년부터 3년간 귀족원 남작 의원을 역임했으며, 1927년 참전했다.
6년간의 미국 유학 경험으로 해군 내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알려졌으며, 미국 해군 장관 에드윈 덴비로부터 군축 회의 개최 움직임을 전해 듣고 해외 정세를 시찰, 해상 가토 도모사부로에게 보고했다.
아내 시게코는 일본 최초의 여자 유학생 중 한 명으로, 부부는 미국 체류 중 만나 귀국 후 결혼했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으며, 미쓰이 물산 초대 사장 마스다 타카는 시게코의 친오빠, 중의원 의원 모리 카쿠는 셋째 딸 사에다의 사위이다.
장남 타케오는 해군 장교였으나 1908년 방호순양함 "마쓰시마" 폭침 사고로 순직했다. 세라다 료는 우류와 함께 개신교 신자이자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 동기생으로 친한 친구였다.
1922년 겨울부터 교원병으로 투병 생활을 했고, 1928년 아내 시게코가 사망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로 인한 미일 관계 악화를 우려, 연방 상원 의원인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 동기생에게 편지를 썼으나, 같은 해 11월 11일 노쇠로 사망했다. 그의 묘는 도쿄 아오야마 묘지에 있다.
2. 1. 초기 경력
가가 번의 지번인 다이죠지 번 번사 우류 긴와타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872년 해군병학교 기숙사에 들어갔다. 1874년에 설립된 도쿄 제일 장로교회의 일원이 되었다. 1875년에 미국으로 유학했고, 1881년 아나폴리스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11월에 일본 제국 해군 해군 중위로 임관했다.[3]‘셋쓰’ 분대장, ‘가이몬’ 분대장, ‘후소’ 분대장, 해군대신 전령사, 장관회의 서기, 참모본부 해군부 제3국 제2과장, 방호순양함 ‘나니와’ 부장, 포함 ‘아카기’ 함장 등을 역임했다.[3]
1891년 해군 대령으로 승진하면서, 요코스카 진수부 해병단장을 맡았고, 프랑스 공사관에서 해군무관을 지냈다가, ‘아키쓰시마’ 함장, ‘후소’ 함장을 역임했다.
1897년 10월, 세토 내해 항해 중 악천후 때문에 방호순양함 마쓰시마가 이쓰쿠시마와 선체 접촉을 일으켜 선체가 대파되는 사고를 일으켰다. 이듬해 4월경 군법회의에서 금고형 3개월의 판결을 받았다. 복귀 후 사세보 진수부 군항부장, ‘마쓰시마’ 함장, 전함 ‘야시마’ 함장을 거쳐 1900년에 해군 소장으로 승진하면서 군령부 제1국장이 되었다.
2. 2. 청일 전쟁과 군사 재판
1891년, 해군 대령으로 승진하여 요코스카 진수부 해병단장을 맡았고, 프랑스 공사관에서 해군무관을 지냈다. 이후 '아키쓰시마' 함장, '후소' 함장을 역임했다.[3]1897년 10월, 세토 내해 항해 중 악천후로 인해 '마쓰시마'가 '이쓰쿠시마'와 선체 접촉을 일으켜 선체가 대파되는 사고를 일으켰다. 이듬해 4월 군법 회의에서 금고 3개월 형을 선고받았다.[3]
2. 3. 러일 전쟁과 제물포 해전
1897년 10월, 내륙 항해 중 악천후 때문에 마쓰시마가 이쓰쿠시마와 선체 접촉을 일으켜 선체가 대파되는 사고를 일으켰다. 이듬해 4월경 금고형 3개월의 판결을 받았다.[3] 복귀 후 사세보 진수부 군항부장, 마쓰시마 함장, 야시마 함장을 거쳐 1900년에 해군 소장으로 승진하면서 군령부 제1국장이 되었다. 상비 함대 사령관을 거쳐 1903년 제4전대 사령관으로서 러일 전쟁의 도화선이 된 제물포 해전에서 승리했다. 이 해전에서 러시아 순양함 바략과 포함 코리에츠를 격침시켰다.[3]2. 4. 러일 전쟁 이후
러일 전쟁 이후 우류 소토키치는 다케시키 요항부 사령관, 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 장관 회의 의원을 거쳐 1909년 12월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을 역임했다. 1907년 9월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20] 1912년 10월 해군 대장으로 승진했고, 1913년 5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927년 1월 퇴역).[24]3. 말년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 기념 박람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24] 1922년부터 3년간 귀족원 남작 의원을 역임했다.[24]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미일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는 것을 우려하여, 미국 상원 의원을 맡고 있는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 동기생에게 편지를 썼다.[23] 우류의 편지는 "Dying Hero Wrote for Peace"라는 제목으로 같은 해 11월 12일자(미국 시간) 뉴욕 타임스에 게재되었지만,[23] 우류는 그 전날인 11월 11일(일본 시간)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의 병원에서 노쇠로 사망했다(향년 80세).[24]
4. 가족
부인 시게코는 10세에 이와쿠라 사절단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10년간 유학 생활을 한 일본 최초의 여자 유학생 중 한 명이다.[4] 우류 부부는 미국 체류 중에 만나 귀국 후 결혼했으며,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다.[4] 미쓰이 물산 초대 사장 마스다 타카는 시게코의 친오빠이며, 중의원 의원 모리 카쿠는 우류 부부의 셋째 딸인 사에다의 사위이다.
장남인 타케오는 아버지 우류와 마찬가지로 해군 장교를 지망하여 해군병학교 33기를 우수한 성적(6위/169명)으로 졸업하였으나,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방호순양함 "마쓰시마"에 승선 중이던 1908년 4월 30일에 "마쓰시마"의 폭침 사고로 순직했다.[4]
5. 평가
우류 소토키치는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러일 전쟁에서 제물포 해전을 승리로 이끄는 등 군사적 공적을 세웠다.[3] 1907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4]
6년간의 미국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정세에 밝았으며, 해군 내에서도 미국 전문가로 알려졌다. 만년에는 미일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그의 아내 우류 시게코 역시 미국 유학 경험이 있었으며, 부부는 미국에서 만나 결혼했다.
그러나 우류 소토키치의 군사 활동은 일본 제국주의 팽창의 일환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가 지휘한 제물포 해전은 러일 전쟁의 시작이었으며, 이는 한국의 주권 침해와 연결된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6. 훈장
7. 기타
우류 소토키치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장로교)였으며,[16]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 동기생인 세라다 료와 친분이 있었다.[19]
참조
[1]
문서
Nishida, Imperial Japanese Navy
[2]
서적
Daughters of the Samurai: A Journey from East to West and Back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15
[3]
문서
Kowner, ''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p. 406.
[4]
간행물
『官報』第7272号「授爵敍任及辞令」September 23, 1907
1907-09-23
[5]
간행물
『官報』第2833号「叙任及辞令」December 6, 1892
1892-12-06
[6]
간행물
『官報』第4027号「叙任及辞令」November 30, 1896
1896-11-30
[7]
간행물
『官報』第5548号「叙任及辞令」December 28, 1901
1901-12-28
[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December 30, 1906
1906-12-30
[9]
간행물
『官報』第3260号「叙任及辞令」November 12, 1937
1937-11-12
[10]
문서
"{{Harvnb|半藤|2013|p=|pp=|loc=第4章 日露戦争の立役者たち:瓜生外吉 米海軍に育つ}}"
[11]
문서
"{{Harvnb|半藤|2013|loc=海軍大将略歴:瓜生外吉}}"
[12]
문서
"{{Harvnb|生田|2017|loc=プロローグ}}"
[13]
문서
"{{Harvnb|生田|2003|pp=62-66|loc=第2章 アボット・スクール時代:海軍士官との恋-意中の人瓜生外吉}}"
[14]
학술지
瓜生 (永井) 繁子の英文「日記」と「回想記」
https://doi.org/10.5[...]
日本英学史学会
1985
[15]
학술지
パーシバル・オズボンと七尾語学所における教え子たち
https://doi.org/10.5[...]
日本英学史学会
[16]
문서
『日本キリスト教歴史大事典』926頁
[17]
뉴스
『クリスマス特別号紙面:明治150年 教会、ミッションスクール、病院 続々誕生 〝築地〟で宣教の花開く』
https://xn--pckuay0l[...]
クリスチャン新聞
2018-12-21
[18]
웹사이트
Annual register of the United States Naval Academy. Annapolis, Md
https://archive.or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78
[19]
서적
明治二十二年六月八日調 海軍高等武官名簿
https://www.jacar.ar[...]
内閣
[20]
문서
"{{Harvnb|生田|2017|loc=第7章 日米親善}}"
[21]
문서
"{{Harvnb|生田|2017|loc=第7章 外吉の発病}}"
[22]
문서
"{{Harvnb|生田|2017|loc=第7章 その死-祝祭の歌流れる日}}"
[23]
문서
"{{Harvnb|生田|2017|loc=第7章 絶筆となった書簡}}"
[24]
문서
"{{Harvnb|生田|2017|loc=第7章 かがやきのみ国}}"
[25]
간행물
『官報』第1921号「叙任及辞令」1889年11月21日。
1889-11-21
[26]
간행물
『官報』第2617号「叙任及辞令」1892年3月24日。
1892-03-24
[27]
간행물
『官報』第4172号「叙任及辞令」1897年6月1日。
1897-06-01
[28]
간행물
『官報』第6076号「叙任及辞令」1903年10月1日。
1903-10-01
[29]
간행물
『官報』第7949号「敍任及辞令」1909年12月21日。
1909-12-21
[30]
간행물
『官報』第126号「叙任及辞令」1912年12月29日。
1912-12-29
[31]
간행물
『官報』第373号「叙任及辞令」1928年3月29日。
1928-03-29
[32]
간행물
『官報』第3261号「叙任及辞令」1937年11月13日。
1937-11-13
[33]
간행물
『官報』第1938号「叙任及辞令」1889年12月12日。
1889-12-12
[34]
간행물
『官報』第2833号「叙任及辞令」1892年12月6日。
1892-12-06
[35]
간행물
『官報』第4027号「叙任及辞令」1896年11月30日。
1896-11-30
[3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第5548号
1901-12-28
[3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号外
1906-12-30
[38]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官報』第7272号
1907-09-23
[39]
간행물
辞令
『官報』第1310号・付録
1916-12-13
[4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第3260号
1937-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